
靑에 “주제넘은 처사” 등 맹비난
남측의 전향적인 입장변화 압박
북한이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사진) 노동당 제1부부장의 첫 담화를 통해 문재인 정부를 강력 압박하고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 없이는 남북관계 진전이 없다는 통첩성 경고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최근 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남북교류 방안을 보고한 상황에서(문화일보 2월 20일 자 1면 참조) 남북 간 물밑접촉이 이뤄지고 있으며, 북한이 이번 담화를 통해 남측의 전향적 입장 변화를 압박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여정 제1부부장은 담화에서 북한의 화력훈련에 우려를 표명한 청와대에 대해 “주제넘은 실없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면서 강력 비판했다. 김 제1부부장은 화력훈련을 “나라의 방위를 위해 존재하는 군대에 있어서 훈련은 주업이고 자위적 행동”이라고 전제한 뒤 청와대를 향해 “주제넘은 실없는 처사” “적반하장의 극치” 등 원색적 비난도 쏟아냈다. 다만, 김 제1부부장은 “청와대 반응이 문재인 대통령의 직접적인 입장 표명이 아니어서 그나마 다행”이라면서 문 대통령에 대한 직접 비난은 삼갔다.
이 때문에 김 제1부부장의 담화로 남북관계가 당분간 어렵겠지만, 동시에 남측의 태도 변화를 전제로 한 대화 가능성도 열어놓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말부터 외무성과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등을 통해 남측을 비난해왔던 북한이 ‘백두혈통’의 김 제1부부장을 내세운 것도 김 위원장의 뜻을 더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대남 특사 역할을 한 김 제1부부장인 만큼, 무게감이 더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리만건 조직지도부장이 해임된 상황에서 김 제1부부장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천식 전 통일부 차관은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제1부부장의 담화는 기존 인사들의 대남비방 담화와 차원이 다른 것으로, 북한 최고 수뇌부가 직접 문 대통령에게 의사를 전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남북 간 물밑접촉 과정에서 북한이 관계개선 조건을 요구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특히 김 제1부부장이 담화 내용을 화력훈련으로 한정하고, ‘동족(북한)’을 강조한 것도 문 대통령에게 양보를 요구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김 전 차관은 “김 제1부부장의 담화 내용이 문 대통령과 주변 참모를 철저히 분리해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남북 간에 무엇인가 진행되는 와중에 문 대통령의 결단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와 통일부는 “김 제1부부장의 담화에 대해 별도의 논평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우리카지노 – https://www.3651casino.com